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간 임대업: 성공 전략과 모델 -4. 공간 브랜딩 및 마케팅 실전

by 원써니스토리 2025. 7. 7.
반응형

4. 공간 브랜딩 및 마케팅 실전

주제 요약

4주차에서는 마련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세입자를 모집하기 위한 브랜딩·마케팅 기법에 초점을 맞춥니다. 먼저 “누구나 사진작가!” 3가지 촬영법을 통해 전문장비가 없더라도 뚝손도 매력적인 공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노하우를 배웁니다. 광각 촬영, 조명 활용, 구도 잡기 등의 팁으로 공간의 장점을 극대화한 사진 포트폴리오를 만들게 됩니다brunch.co.krbrunch.co.kr. 다음으로 브랜딩의 시작: 하우스 이름 짓기 세션에서는, 기억에 남고 컨셉을 담은 이름을 선정하고 SNS 계정이나 로고를 만드는 등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이어서 모집 글 작성 및 마케팅 채널 활용 파트에서는, 임대공고/홍보글을 작성할 때 눈에 띄는 제목, 매력을 담은 본문 구성, 필수 정보(가격, 위치, 조건 등) 명시 등의 요령과 함께, 블로그나 커뮤니티, 부동산 카페, SNS 등에 올리는 채널별 최적화 전략을 익힙니다. 또한 하우스 스토리텔링을 통해 공간에 이야기를 입히는 법을 배우며, 수업 교재로 우수 사례 문구를 참조해봅니다. 그 다음 입주자 모집 실전으로, 세입자 문의가 왔을 때 응대하는 법, 방문 예약 잡기, 하우스 투어 동선 및 설명 포인트, 방문 후 팔로업(후속연락)까지 계약 전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답은 계약서에!”**라는 말과 함께, 입주 확정 전에 재차 확인해야 할 계약 조건들과 잔금 및 입주 일정 조율, 계약서 작성 실습으로 마무리합니다.

실전 사례

  • 사진 촬영과 홍보 개선 사례: 한 쉐어하우스 운영자는 초기에 올린 방 사진이 어둡고 협소해 보여 문의가 적었지만, 이후 스마트폰에 광각 렌즈를 장착하고 햇빛 잘 드는 시간에 모든 조명을 켜서 다시 촬영한 결과 문의가 3배 이상 늘었습니다. 그는 “창가 커튼을 걷고 밝은 상태로, 방의 코너가 보이도록 찍으니 공간이 실제보다 넓어보였다”고 합니다brunch.co.krbrunch.co.kr. 또한 에어비앤비 공식 사진촬영 서비스를 신청해 전문가가 찍은 사진을 올리자 숙소 페이지가 상위노출되며 예약률이 크게 올랐습니다brunch.co.kr. 이 사례는 사진 한 장의 힘을 보여주며, 누구나 몇 가지 팁으로 사진 퀄리티를 개선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 브랜딩 및 커뮤니티 사례: 앞서 소개한 공유주택 스타트업 ‘우주(WOOZOO)’는 브랜드 스토리 구축을 통해 입소문을 탄 경우입니다. *“우리의 집”*이라는 의미의 이름부터 시작해 입주자를 **‘우주인’**이라 부르는 독自 용어를 만들었고, 각 하우스마다 테마를 부여해 콘텐츠화했습니다ch.yes24.comch.yes24.com. 예비 입주자들은 그냥 방을 빌리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커뮤니티에 참여한다는 느낌을 받았고, 실제로 우주 하우스는 언론보도와 책 출판으로까지 이어져 홍보 효과를 누렸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 부산의 한 에어비앤비 호스트는 자신의 숙소에 *“영화 속 집”*이라는 별칭을 붙이고 블로그에 인테리어 과정을 연재했습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 구독자들이 그대로 투숙 고객이 되는 선순환이 생겼습니다. 자연스러운 콘텐츠 마케팅으로 홍보 비용 없이 고객을 모은 셈입니다.

실행 전략 요약 (포인트별)

  • 공간 사진 촬영 팁: 사진은 밝고 넓어 보이게 찍는 것이 핵심입니다. Tip 1: 자연광 활용 – 햇빛이 가장 잘 드는 시간대에 커튼을 모두 열고 촬영합니다. 집 안 모든 전등도 켜서 최대한 밝게 하고, 카메라(또는 스마트폰)의 노출을 어두운 부분에 맞춰 조절하면 전체가 환하게 나옵니다brunch.co.kr. Tip 2: 광각구도 – 방을 대각선 코너가 보이도록 찍으면 입체감이 생겨 실제보다 넓게 느껴집니다brunch.co.kr. 벽을 정면에서 찍는 사진은 피하세요. Tip 3: 깔끔한 연출 – 사진 찍을 때만큼은 공간의 군더더기를 싹 치웁니다. 침구는 정돈하고 생활용품은 최소화하여 호텔처럼 깨끗한 느낌을 줍니다. 또한 중요 공간(침실, 거실, 주방, 화장실 등)별로 대표 사진을 2장 이상 찍어두고, 온라인 플랫폼 권장 해상도(예: 1200px 이상 고해상도)로 업로드합니다airbnb.co.kr. 5장 중 1장은 썸네일로 쓸 메인컷이니 특히 공들여 선택합니다.
  • 브랜드 네이밍 및 아이덴티티: 공간의 이름은 발음하기 쉽고 의미가 담긴 것으로 짓습니다. 지역명이나 콘셉트를 결합하면 직관적입니다 (예: “해운대 오션뷰 하우스”, “홍대 아틀리에 쉐어하우스” 등). 가능하면 영문명도 함께 생각해 SNS 계정에 활용하세요. 로고나 간판이 필요하다면 미리캔버스 등의 디자인 템플릿 툴을 활용해 심플하게라도 만들어봅니다. 브랜딩의 일관성을 위해 온라인 아이덴티티 통일 – 예컨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페이지, 블로그를 개설해 동일한 프로필 이미지와 소개 문구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해두면 나중에 입주자가 아닌 사람들도 팔로우하며 공간 소식에 관심을 갖게 되어 잠재 홍보 효과가 커집니다.
  • 모집/홍보글 작성 요령: 제목은 임팩트 있는 한 줄로 승부합니다. “[역세권] 합정역 5분, 깔끔한 여성전용 쉐어하우스 입주자 모집”처럼 핵심 특징(입지/대상/콘셉트)을 담습니다. 본문 내용 구성은 1) 하우스 간략 소개 (컨셉, 분위기) 2) 위치 및 주변 편의시설 3) 제공 시설 및 서비스 (가구, 인터넷, 청소 주기 등) 4) 입주 조건 (보증금, 월세, 공과금 분담, 최소 계약기간, 규칙) 5) 연락 방법 순으로 쓰면 빠짐없습니다. 너무 장황하게 쓰기보다는 글머리 기호나 줄바꿈을 활용해 눈에 잘 들어오게 정리합니다. 가능하다면 입주자 후기 한 줄이나 “함께 사는 사람들끼리 OO도 함께해요” 같은 스토리 요소를 곁들이면 정서적 매력도가 올라갑니다. 사진도 2~3장 첨부해서 백 마디 말보다 공간을 직접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각 채널 성격에 따라 어투를 조절하되 (예: 부동산 카페에는 격식 있게, SNS에는 캐주얼하게), 문의 연락처를 항상 마지막에 명시하세요 (가능하면 카카오톡 오픈채팅 링크나 연락처).
  • 스토리텔링 및 콘텐츠 활용: 공간에 특별한 이야기를 부여하면 홍보력이 배가됩니다. 예를 들어 슈퍼호스트 최인욱 씨의 사례처럼 *“세 아이와 게스트 가족의 추억이 쌓이는 27년 된 주택을 직접 리모델링했다”*와 같은 스토리는 감성을 자극합니다news.airbnb.com. 자신의 공간이 생긴 배경이나 인테리어에 담긴 뜻, 운영 철학 등을 간단히 소개하면 공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스토리를 블로그나 유튜브에 연재하거나, 지원하는 경우 에어비앤비 호스트 스토리 섹션에 올려 노출 기회를 잡아보세요. 또한 하우스 입주민 인터뷰, 주변 명소 소개 등의 콘텐츠를 만들면 자연스럽게 홍보가 됩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컨텐츠를 발행해서 브랜드를 활성 상태로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 문의 응대 및 투어 전략: 홍보글을 보고 문의가 오면 신속하고 친절하게 답변하세요. 초기 응대 속도가 계약 성사율을 좌우합니다. 문의자가 궁금해할 만한 것을 미리 파악해 FAQ 템플릿을 만들어 두면 편리합니다 (예: Q: 방 사진 더 볼 수 있을까요? → A: 네, 구글 드라이브 링크 첨부합니다.). 방문 희망자가 있으면 일정 조율 시 주말 혹은 퇴근 후 시간대 등 상대방 편의를 최대한 맞춰주세요. 집 투어 시에는 밝은 분위기로 맞이하되 핵심 포인트 투어 동선을 짜두고 진행합니다. 예컨대 “현관 → 거실(공용공간 장점 설명) → 부엌(제공물품 설명) → 욕실(청결관리 설명) → 배정 가능한 방(프라이버시 설명)” 순으로 안내하며, 중간중간 입주자가 질문할 틈을 줍니다. 투어가 끝나면 바로 계약을 강요하지 말고 “천천히 생각해보시고 궁금한 점 연락주세요”라고 안내한 뒤 팔로업으로 당일 저녁에 감사 메시지를 보내세요. 또, 여러 명에게 보여주는 경우 선착순 원칙이나 대기자 제도를 공지해 투명하게 운영하세요.
  • 계약 직전 최종 점검: 입주를 결정한 희망자와는 계약 전에 다시 한 번 조건 확인을 합니다. 보증금, 월세, 입주일, 계약기간, 하우스 규칙 등을 상기시키고 동의 여부를 묻습니다. 특히 쉐어하우스의 경우 *“전입신고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미리 정책을 정해 둡니다 (전입 불가 시 임대차보호 못 받으므로 보증금 낮추는 등 대안 제시). 모든 합의가 되면 표준 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고, 내부 운영 수칙 별도 서약서가 있다면 함께 받습니다. 계약서에 모든 결정 사항이 담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두로 한 약속은 빠짐없이 계약서 특약에 추가하세요. 예컨대 “입주자들 간 분쟁 시 운영자 조정에 따를 것” 등의 조항도 명문화해 두면 추후 분쟁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계약 후 첫 임대료 납부, 키 전달, 단체채팅방 초대 등 초기 정착 지원까지 하면 마케팅의 최종 단계가 성공적으로 끝납니다.

활용할 도구/플랫폼

  • 사진 촬영 도구: 최신 스마트폰과 광각 렌즈 부착물 (스마트폰용 광각렌즈 키트는 온라인에서 저렴하게 구매 가능)을 사용하면 DSLR 없이도 넓은 샷을 얻습니다. 삼각대를 활용해 흔들림 없이 촬영하고, 기본 편집은 스마트폰 내장 편집기나 Lightroom 앱으로 밝기 조정만 해도 충분합니다.
  • 소셜 미디어 채널: 인스타그램에 하우스 계정을 만들어 사진을 공유하고, 해시태그(#서울쉐어하우스, #OO역룸메구함 등)를 달아 관련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보게 합니다. 페이스북의 임대 관련 그룹 (예: “서울 셰어하우스 찾기”)에도 사진과 함께 간략 설명+문의 링크를 올립니다. 에어비앤비 숙소라면 에어비앤비 내 타이틀과 썸네일 이미지를 수시로 테스트하며 조회수 변화를 체크하세요.
  • 온라인 부동산 카페: 네이버 카페 - 하우스메이트, 원룸텔/쉐어하우스 홍보방 등 기존 커뮤니티에 홍보글을 올릴 땐 각 카페의 글쓰기 양식과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예: 일부 카페는 연락처 공개 금지이므로 “쪽지 주세요”라고 써야 함 등.)
  • 커뮤니케이션 툴: 문의자 관리에는 카카오톡 오픈채팅이 유용합니다. 개인 번호 노출 없이 다수의 문의를 받을 수 있고, 오픈채팅 프로필에 기본 공지를 올려 FAQ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 문의용으로는 하우스 브랜드 명의의 Gmail을 만들어 사용하면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제작 도구: 브랜딩 스토리를 담은 블로그 개설에는 네이버 블로그가 국내 이용자에게 노출이 잘 됩니다. 꾸준히 글을 쓰면 네이버 검색에도 노출되어 추가 홍보 채널이 됩니다. 또한 짧은 영상으로 공간을 소개해보고 싶다면 스마트폰으로 촬영 후 VLLO 같은 편집앱으로 1~2분 홍보 영상을 만들어볼 수도 있습니다.

체크리스트 및 템플릿 구성 예시

■ 입주자 모집글 템플릿 예시

섹션 작성 내용(예시)
제목 [홍대입구역 도보5분] 밝고 아늑한 여성전용 쉐어하우스, 1인실 지금 입주 가능
한줄 소개 안녕하세요, “홍대 아틀리에 하우스”에서 새로운 가족을 맞이합니다! 예술을 좋아하는 2030 여성분들과 함께하는 밝은 공간이에요.
위치 및 환경 위치: 홍대입구역 2번 출구에서 걸어서 5분 거리 조용한 주택가
주변: 편의점 1분, 마트 3분, 연남동 카페골목 인접 – 즐길 거리 풍부합니다.
제공 시설 공용: 넓은 거실 (TV, 소파), 주방 (냉장고 2대, 조리도구 풀세트), 세탁실 (세탁기/건조기), Wi-Fi 무제한
개인: 각 방 침대+책상+옷장 풀세트, 개별 에어컨, 도어락
서비스: 주 1회 공용공간 청소, 월 1회 정기 소독 실시
입주 조건 보증금: 50만원, 월세: 45만원 (광열비 및 관리비 5만원 별도)
계약: 최소 3개월, 여성만, 20~35세
규칙: 전체 금연, 소음 주의 (23시 이후 취침모드), 게스트 방문 사전상담. 서로 배려하며 지냅니다 🙂
하우스 특징 (스토리) 이 집은 핸드메이드 소품으로 꾸민 아늑한 인테리어가 자랑입니다. 입주자분들과 함께 요가 클래스도 가끔 열며, 지난 달에는 다같이 홈파티도 했어요! 예술을 사랑하는 분들이라면 금방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곳입니다.ch.yes24.com
문의 및 연락처 궁금한 점은 **댓글 또는 카카오톡(open chat)**으로 문의 주세요.
방문 전에 하우스 소개 PDF와 추가 사진을 보내드려요. 연락주시면 친절히 안내하겠습니다! 🏡
 

템플릿 활용: 위 양식에 따라 자신의 하우스 정보를 채워 넣고, 각 플랫폼 성격에 맞게 어휘를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카페에는 이모티콘을 빼고 더 딱딱하게 쓰는 게 좋습니다. 스토리 섹션에는 해당 하우스만의 특별한 점을 2~3문장 넣어 다른 글과 차별화하세요.

반응형